THE 4TH AWARD (5th KOR)

THE 4
TH
VH AWARD
FINALISTS
  • 인터뷰보기
  • GRAND PRIX
    LAWRENCE LEK 로렌스 렉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 로렌스 렉은 인간이 AI와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디지털 이미지가 현실의 우리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보기 위한 방법으로 비디오게임 소프트웨어와 CGI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여 실제와 가상 세계를 결합한다. 그는 실재와 가상을 콜라주처럼 결합한 허구의 세계관을 창작하여, 대체적 역사와 미래의 가능성들에 대한 내러티브를 구축한다. 렉의 그랑프리 수상작인 <Black Cloud> 는 버려진 도시를 감시하기 위해 설계된 도시 AI 시스템과 이들의 정신적 산물인 것으로 보이는 빌트인 테라피스트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폐허가 된 가상 스마트 시티 SimBeijing 안에서의 대화를 설정함으로써, 기술 환경의 심리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지속한다.

  • 인터뷰보기
  • FINALIST
    DOREEN CHAN 도린 챈

    홍콩에서 태어나 현재 시카고에 거주 중인 도린 챈은 그녀의 플랫폼 halfdream.org를 통해 사람들에게 그들의 불완전한 꿈을 공유하도록 초대한다. 이어서, 챈은 꿈 사이의 연결성을 바탕으로 낯선 이들을 매칭하며, 외부 또는 정치 세력이 분열을 드러내는 와중에도 사실 잠재의식 속에서 우리는 모두 비슷하다는 것을 보고 기억토록 한다. 챈의 비디오 작품 <HalfDream> 속 등장하는 문장들을 보며 우리는 서두르는 꿈, 물건을 잃는 꿈, 외국에 있는 꿈, 자신에게서 소외되는 꿈 또는 단순히 자신이 아닌 꿈이 아마도 우리가 인식하는 것보다 더 보편적이라는 것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 인터뷰보기
  • FINALIST
    SYAURA QOTRUNADHA 샤우라 쵸트루나다

    인도네시아의 예술가 샤우라 쵸트루나다의 영상 프로젝트 <Fluidity of Future Machines>는 작가 자신이 어린시절 물과 맺었던 관계에서 출발하여, 나이가 든 한 남자가 물과 본인의 관계를 생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우리 몸의 65% 이상이 물이라는 것을 상기시키는 독백을 시작으로 우리 몸의 가장 작은 세포와 지구의 바닷물 사이의 관계에 대해 말한다. 쵸트루나다의 영상은 현미경을 들여다 본 경험을 떠올리게 하며 기성의 통찰력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영상의 이미지들은 처음에 우리 몸 밖에 있는 이물질로 보이지만, 곧 우리는 그것들이 어떤 면에서는 그들 자신을 보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 인터뷰보기
  • FINALIST
    PARIBARTANA MOHANTY 파리바타나 모한티

    동인도 해안의 오디샤주에서 자란 파리바타나 모한티는 현재 델리에 거주 중이지만 그의 고향 지역의 생태학적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둔다. 모한티는 그의 VH AWARD 프로젝트를 위해, 10,000킬로 이상의 인도 해안을 여행하며 사이클론과 쓰나미를 포함한 여러 자연 재해의 영향을 목격하고 기록하고자 했다. 그의 작품 <Rice Hunger Sorrow>에서 바다와 숲을 향해 가는 두 명의 주인공은 끊임없이 “누가 가장 강한가?”라고 되묻는다. 그에 대한 대답은 대자연 앞에서 부족할 수 밖에 없는 우리에 대한 반성으로 남는다.

  • 인터뷰보기
  • FINALIST
    JUNGWON SEO 서정원

    서울 기반의 예술가 서정원의 <We Maketh God>은 인공지능이 어떤 종류의 예술을 창조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흑백 화면으로 촬영한 후 느리게 재생하여 서스펜스를 가미한이 영상은 르네상스의 드라마를 현재로 가져옴으로써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매일의 역사를 생각해볼 수 있게 한다. 그 효과는 섬세하고도 강력하다. 서정원은 우리의 집단적이고 개인적인 행동의 중요성을 우리 스스로 지금은 느끼지 못할 수 있지만, 앞으로 몇 년, 어쩌면 몇 세기 동안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는 것을 관객에게 알린다.

SCREENING EVENT


The 4th VH AWARD x Museum MACAN


Ars Electronica Festival


The 4th VH AWARD VIRTUAL CEREMONY


The 4th VH AWARD Private Viewing Event


ELEKTRA Virtual Museum

JURY
  • 이숙경 (SOOK-KYUNG LEE)

    테이트 모던 국제 미술 수석 큐레이터 (현대 테이트 리서치 센터: 트랜스내셔널)

    이숙경 박사는 테이트 모던의 국제 미술 수석 큐레이터이자 ‘현대 테이트 리서치 센터: 트랜스내셔널’의 수장으로 전시, 작품 구입, 소장품 전시 등을 맡고 있다.

    2019년, 루돌프 프릴링과 테이트 모던의 <백남준> 전을 공동 기획했고 순회 전시회가 유럽, 미주, 아시아에서2022년까지 열릴 예정이다. 테이트 모던에서 기획한 다수의 소장품 전시로는 <미술로 본 한 해: 호주 1992> (2021-22), <캠프: 걸프에서 걸프로 또 걸프로> (2019-20), <샤오 루와 니키 드 생팔> (2018-19) 등이 있다.

    테이트 리버풀의 큐레이터로 활동하는 동안 <더크 에이트킨: 원천'과 ‘분기점> (리버풀 비엔날레 2012-13) 등 많은 전시를 기획했고, 2015년 제56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와 큐레이터를 역임했다.

    그 밖에도 다수의 국제 학술행사를 기획했으며, 주관 행사로는 <알렉산드리아에서 도쿄까지: 미술, 식민주의, 엉킨 역사들> (모리미술관 공동 주관, 2020), <연대의 축: 랜드마크, 플랫폼, 미래들> (테이트 모던, 2019), <분열된 영토들: 1989년 이후의 아시아 미술>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2017) 등이 있다. 현대미술에 대한 저술과 강연 분야에서도 폭넓게 활동하여, <백남준> (루돌프 프릴링 공저, 전시 도록, 2019), <축지법과 비행술: 문경원 & 전준호>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 도록, 2015) 등의 글을 통해서도 현대미술과 대중의 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크리스토퍼 필립스 (CHRISTOPHER PHILLIPS)

    독립 큐레이터 겸 미술비평가

    크리스토퍼 필립스는 독립 큐레이터이자 미술비평가로 주로 뉴욕을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Asia Art Archive in America 이사, 매거진 <아트 인 아메리카>의 객원 편집장이며, 뉴욕대 티시(Tisch) 예술학교에서 ‘사진과 미디어아트의 역사와 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뉴욕 국제 사진(ICP) 큐레이터로 근무했고, 현대 아시아 사진학 및 미디어 아트 전시를 다수 기획했다. 주요 전시로는 Wu Hung과 공동 기획한 <과거와 미래 사이: 중국에서 온 새로운 사진과 비디오> (2004), <Atta Kim: 온 에어> (2006), <상하이 만화경> (2008), Noriko Fuku와 공동 기획한 <무거운 빛: 일본의 최신 사진과 비디오> (2008), <Wang Qingsong: 세상이 충돌할 때> (2011), <한영수: 사진으로 보는 서울, 1956-1963> (2016), <인생과 꿈: 중국 현대 사진과 미디어 아트> (2018) 그리고 <Zheng Gougu: 포토웍스, 1993-2016> (2019) 등이 있다.

  • 로드릭 슈락 (RODERICK SCHROCKK)

    큐레이터 겸 Eyebeam 디렉터

    로드릭 슈락은 큐레이터이자 아트 이그제큐티브로, 2015년부터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예술작품을 지원하는 뉴욕의 예술 단체 아이빔(Eyebeam)의 이그제큐티브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사회적 관계 재조정에 목적을 둔 작품을 주로 지원하는 아이빔과 소속 아티스트를 관리ㆍ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암스테르담 스타임(STEIM), 캘리포니아 예술대, 그리고 뉴욕대 ITP 교수직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 Curatorial Practice 석사과정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네덜란드 아메리카 재단 문화 위원회 회원이자, 아트+페미니즘 창립 멤버이기도 한 그는 세 개 대륙을 아우르며 미디어와 사운드 아트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밀스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에서 비영리단체 매니지먼트 자격증을 취득했고, 다수의 에세이와 칼럼이 MIT Press, New Music Box, Fucking Good Art와 e/i Magazine에 실렸으며, 온라인 출판물 <하이퍼앨러직>과 <허핑턴포스트>등의 미디어에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Meet the Composer, American Music Center, Netherlands America Foundation, Ostrava New Music Days 등에서는 사운드 아티스트로 참여하는 등 다양한 스펙트럼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아론 시토 (AARON SEETO)

    인도네시아 현대 미술관 디렉터

    아론 시토는 2016년부터 인도네시아 현대 미술관의 디렉터로서 현대 미술 발전을 도모하는 다양한 작업에 참여했으며, 아태지역 아티스트들의 주요 전시를 기획했다.

    호주 GOMA 현대미술관 에서 아태평양 미술 큐레이터 매니저를 역임하고, 2015년 ‘제8회 아태평양 현대미술 트리엔날레’(APT8) 큐레이터 팀을 이끌었다. 이전 8년 동안, 시드니의 획기적인 4A아시아 현대미술 센터의 디렉터직을 수행했다.

  • 준 얍 (JUNE YAP)

    싱가포르 아트뮤지엄 전시기획, 수집 및 프로그램 디렉터

    준 얍 박사는 싱가포르 아트뮤지엄의 전시 기획ㆍ수집 및 프로그램 디렉터로, 콘텐츠 창작과 미술관 프로그래밍 감독을 맡고 있다.

    구겐하임 미술관의 UBS MAP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관 담당 큐레이터, 싱가포르 현대미술연구소 부소장 겸 큐레이터, 싱가포르 아트뮤지엄의 큐레이터를 역임했다. 주요 기획 전시로는 오사카 국립미술관 큐레이터 Yuka Uematsu와 공동 기획한 타이쿤 현대미술관의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구겐하임 미술관 UBS MAP 글로벌 아트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열린 <국경의 붕괴: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현대미술> 그리고 아티스트 Ho Tzu Nyen과 공동 기획한 제54회 베니스 비엔날레의 <무지의 구름>이 있다. 대표 저서로는 <레트로스펙티브: 현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역사 미학> (2016)이 있고, 현재 싱가포르 현대미술연구소의 <마치 전에 여기 와 본 적이 있는 것 같다>, 독일 문화교류기금(IFA)의 <천국은 다른 곳에 있다> 그리고 싱가포르 아트뮤지엄의 미디어 아트 전시회 전시를 오픈 준비 중이다.